[new] 한국 상황에 강한 마케팅 법칙과 성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22:33
본문
Download : 한국 상황에 강한 마케팅 법칙과 성공.hwp
소비자가 자사에게 적당한 기대를 하도록 만들면 도움이 되지만, 기대를 너무 부풀려 놓으면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PPL(product placement; 영화나 드라마에 끼워넣기식 홍보)이라는 소위 간접광고의 효능가 최근 우리나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PPL의 기법이나 활용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나라로 우리나라만한 곳이 없는 듯하다. 개개인의 소비자뿐만 아니라, 소비자(consumer)들이 모여 있는 시장(market)에 대해서도 면밀한 관찰과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한국 상황에 강한 10가지 마케팅 법칙 - 여준상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 우리나라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잘 팔려면, 어떻게든 우리나라 소비자를 잘 알아야 한다.
③기대(expectation) 관리의 법칙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국 상황에 강한 10가지 마케팅 법칙 - 여준상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
②광고 반복노출 효능의 법칙
예를 들어, 지키지도 못할 배송 기일 약속을 너무 무리하게 설정해 놓을 경우 소비자들은 거기에 맞춰 기대를 하게 되며, 만약 그 약속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당한 실망과 함께 불만족을 표시하게 된다.
최근 우리 주변에는 대기업 브랜드 못지않은 인지도와 인기를 구가하는 브랜드들이 제법 있다. 최근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광고 반복의 힘은 위력적이며 특히 미디어나 광고 의존성향이 높은 동양권 국가에서 더욱 설득력이 높다고 한다. 개개인의 소비자뿐만 아니라, 소비자(consumer)들이 모여 있는 시장(market)에 대하여도 면밀한 observation과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한국 상황에 강한 마케팅 법칙과 성공
마케팅의 어원을 살펴보면, market과 ing의 합성어다. market이 동사로 해석되면, 소비자가 모여 있는 시장에 다가간다는 의미가 된다 한국 기업이 한국 시장에서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마케팅을 한다면 당연히 한국 소비자의 심리, 文化적 배경, 행동적 특수성들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하이마트, 파크랜드, 청호나이스, 웅진코웨이, 귀뚜라미보일러, 쿠쿠홈시스 등, 이른바 중견브랜드라 불리는 브랜드들이 있는데, 비교적 단기간 내에 상당한 수준까지 브랜드파워를 끌어올렸다고 볼 수 있다. 그들 책은 그들 나름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소비자 特性(특성)에 기반한 우리나라식의 마케팅 법칙 소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 한국 기업이 한국 시장에서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마케팅을 한다면 당연히 한국 소비자의 심리, 문화적 배경, 행동적 특수성들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매일 같이 쏟아져 나오는 마케팅 관련 번역서들을 보면, 우리나라 실정과 맞지 않는 사례들이 소개된 책들도 다수 보이며 상당수의 책들이 미국 기업과 미국 사회, 미국 소비자 특성에 기반한 마케팅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캡션> 현대카드
마케팅
우리나라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잘 팔려면, 어떻게든 우리나라 소비자를 잘 알아야 한다.
우리가 흔히 하는 말 중에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 시장에서 유독 성공 사례가 많은 마케팅 키워드를 뽑아보고 그들의 성공 뒤에는 어떠한 심리적, 문화적, 행동적 요소가 작용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런 간접광고는 보통 PPL(product placement) 이라고도 불린다.
최근, 드라마, 영화, CF 등을 통한 간접 광고가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 자리잡고 있다.
결론적으로, 미디어를 통한 광고만한 마케팅 책략은 없으며, 여력만 된다면 스폰서십, 이벤트 등과 같이 취지만 좋은 간접마케팅에 기약 없는 투자를 할 것이 아니라 직접마케팅, 즉 광고에 뛰어드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정리해보면 서른 개가 넘는 법칙들이 추출되지만, 지면 관계상 모든 법칙들을 다 소개할 수는 없고 주요한 법칙 10개를 중심으로 개략적 내용과 성공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론 알리스, 잭트라우트 책과 같은 외국 마케팅서들이 무조건 의미없다는 것은 아니다.
반복된 광고는 때로는 터무니없는 확장을 한 브랜드를 용서하기도 하며, 고착되어있던 부정적 이미지를 희석시키기도 한다. market이 동사로 해석되면, 소비자가 모여 있는 시장에 다가간다는 의미가 된다.
순서
여기에는 광고 반복노출 효능가 기저에 깔려있다고 볼 수 있는데, 아, 저거 광고에 나오는 제품이잖아 이 말에는 소비자들의 무의식적 광고 의존이라는 심리 효능가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Download : 한국 상황에 강한 마케팅 법칙과 성공.hwp( 82 )
물론 알리스, 잭트라우트 책과 같은 외국 마케팅서들이 무조건 의미없다는 것은 아니다. 그들 책은 그들 나름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소비자 특성에 기반한 우리나라식의 마케팅 법칙 소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반면 진솔한 약속을 하는 경우, 즉 솔직히 우리가 할 수 있는 여력 내에서 지킬 수 있는 약속을 할 경우(물론 이 경우에 너무 터무니없이 형편없는 약속을 하면 오히려 문제가 되겠지만), 소비자들은 적절한 기대를 형성할 것이며 그 기업이 행하는 성과나 활동에 대한 평가도 그 기준에 맞춰 할 것이다. 하지만 매일 같이 쏟아져 나오는 마케팅 관련 번역서들을 보면, 우리나라 실정과 맞지 않는 사례들이 소개된 책들도 다수 보이며 상당수의 책들이 미국 기업과 미국 사회, 미국 소비자 特性(특성)에 기반한 마케팅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 시장에서 유독 성공 사례가 많은 마케팅 키워드를 뽑아보고 그들의 성공 뒤에는 어떠한 심리적, 文化적, 행동적 요소가 작용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리(arrangement)해보면 서른 개가 넘는 법칙들이 추출되지만, 지면 관계상 모든 법칙들을 다 소개할 수는 없고 주요한 법칙 10개를 중심으로 개략적 내용과 성공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케팅의 어원을 살펴보면, market과 ing의 합성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