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4:53본문
Download : 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hwp
이 용어는 『捷解新語』의 개수본 및 중간본에서 ‘にとくそうし(二特送使)’로 수정되었다. 그러나 『倭語類解』에서는 ‘特送 특송 ○ 즉소`, ‘副特送 부특송 ○ 후즉소’로 나타난다. ‘특송’의 ‘특’은 구개음화된 ‘ㅈ(ㅊ)’fh 차용되어 日本(일본)어 음절구조에 따라 ‘즈구’가 되었고 ‘송’은 ‘소’의 형태가 된 것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여기서 나타난 ‘いちはんつくそき’, ‘いとくそき’, ‘(にはん)つそき’는 모두 조선어에서 차용된 어휘로 불 수 있기 때문에 이 變化(변화)는 조선어 차용어의 형태變化(변화)로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중간본의 ‘いつとくそうし’가 조선어 차용어 ‘いとくそき’로 대치된 예로 볼 수 있다 중간본에서는 개수본에 나타난 조선어 차용 어휘가 日本(일본)어 어휘로 대치된 예가 많은데 (041)는 특이한 예라고 할 수 있다
(59) (395)いていれ(10下-4b) : いていり(10下-4a)
(小学)에서는 ‘いでいる(出で入る)’로 해서 “出たり入ったりする”로 설명(說明)하고 있다 용례로는 “朱雀院には、みかど、やすくもおはしまさず、いでいりおもほし嘆きて”(宇津保·国譲下[10世紀前後]), “出でいる車の轅(ながえ)もひまなく見え”(枕·二十五·すさまじきもの), “出で入る息に阿吽の二字を唱え”(謠曲·安宅)등의 예문이 제시되고 있다 (中田)에서도 용례로서 “出で入りし宿を形見と眺めつつ”(宇津保·蔵開·中[平安時代]), “出で入る下人だになくてつれづれと眺め給ふ”(源氏·逢生) 등의 예문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 日本(일본)어 사전에서는 ‘いでいれ’라는 표제어가 등재되고 있기 때문에 어휘의 소멸로 인한 대치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용어는... , 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기타레포트 ,
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
레포트/기타
다.
(366)いわい(10上-16b) : しゆうき(10上-13b)△
(164)おとりやう(6-12a) : おとりまする…(skip)
,기타,레포트






정승혜(1999)는 원간본 권1-8a, 권2-14a에 나타난 ‘つくそき’를 들어 “‘つくそき(特送)’도 조선어를 차용한 것으로 본다.순서
Download : 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hwp( 59 )
정승혜(1999)는 원간본 권1-8a, 권2-14a에 나타난 ‘つくそき’를 들어 “‘つくそき(特送)’도 조선어를 차용한 것으로 본다. 이 용어는...
설명
정승혜(1999)는 원간본 권1-8a, 권2-14a에 나타난 ‘つくそき’를 들어 “‘つくそき(特送)’도 조선어를 차용한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