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영과 음수의 이야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01:17본문
Download : 숫자 영과 음수의 이야기.hwp
그런데 6 세기 초, 인도 사람들은 칸을 없애고, 대신 빈 자리를 메꾸기 위해 그들의 언어에 있었던 sunya 라는 말에 해당하는 작은 동그라미를 사용하기 처음 했습니다. 게다가 그런 숫자를 가지고 곱셈 같은 것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것이 지금의 십진기수법 및 계산법이 된 것입니다.
인도에서는 모래 위에 금을 그어 몇 개의 칸을 만든 뒤, 1,2,3,4,5,6,7,8,9 에 해당하는 숫자를 칸에 써 넣어 수를 표현하고 계산을 했습니다.) 그와 동시에 지금의 계산법과 비슷한 방법이 만들어지기 처음 했습니다.
순서
Download : 숫자 영과 음수의 이야기.hwp( 54 )
,인문사회,레포트
각 나라의 숫자의 특징과 숫자 영과 완전수, 무한수, 소수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그것이 6세기 초 비로소 기수법에 적용된 것입니다. 대신 그런 도구들을 다루는 것 자체가 어려운 기술이고, 계산이란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영음수의개념 , 숫자 영과 음수의 이야기인문사회레포트 ,
숫자 영과 음수의 이야기
다. 그것은 수를 표기할 때 비게 되는 자리를 채우는 기호입니다. (사실 인도 언어에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은 지금의 십진기수법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 역시 유럽이나 china(중국) 의 방법처럼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습니다. 역시 203 처럼 어떤 단위에 해당하는 숫자가 없으면 그 칸을 비워 놓아 표현했습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영음수의개념
기수법과 관련해 0 이 발명된 과정을 써 보겠습니다. 그런 것들은 정해진 위치에 돌이나 구슬을 놓아 수를 표현하는데 해당되는 단위의 수가 없으면 안 놓으면 되기 때문에 0 이 필요 없습니다. 그런 숫자 체계에서는 큰 수를 표시하기 위해 새로운 기호들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그래서 셈을 하기 위해 유럽에서는 산판 (abacus), china(중국) 에서는 산목 또는 주판을 사용했습니다. china(중국) 이나 유럽에서는 0 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마야 문명 역시 0 을 사용했습니다. 즉, 계산의 결과 뿐만 아니라 과정까지도 남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때까지만 해도 0 은 빈 자리를 메꾸기 위한 기호였으나 6 세기 말에는 이것이 `아무 것도 없음` 을…(省略)
설명
각 나라의 숫자의 특징과 숫자 영과 완전수, 무한수, 소수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조르주 이프라의 `신비로운 수의 history`, (예하) 에서 요약)
고대 바빌로니아의 점토판에 새겨진 쐐기문자를 해석해 보면 0 에 해당하는 기호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