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제4차 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2:41본문
Download : 제4차 교육과정.hwp
(1) 초등학교
설명
1) 이념 및 기본방향
순서
[교육과정] 제4차 교육과정
Download : 제4차 교육과정.hwp( 70 )
제4차 교육과정은 민주사회, 고도산업사회, 건전한 사회, 문화사회, 통일조국 건설에 필요한 건강한 사람, 심미적인 사람, 능력 있는 사람, 도덕적인 사람, 자주적인 사람을 길러내는 데 목적을 두었다.
1.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다.(김진규, 2007)
제4차 교육과정은 1981년 문교부고시 제442호로 공포된 교육과정을 말한다. 특히, 지금까지 소홀히 해 온 인간중심 교육과definition 성격도 반영되어 개인적, 사회적, 학문적 적합성을 고루 갖춘 교육과정이 되게 하였다.
제4차 교육과정 이념의 특징은, 어느 한 사조나 이념만을 고수하는 교육과정이 아니라,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아 따라서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등과 같은 접근 위에서 change(변화)와 未來(미래)에 대한 인식을 강조하는 未來(미래)지향적 교육과definition 인식이 반영되었다. 제4차 교육과정은 문교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지 않고, 한국교육개발원에 위탁하여 기초연구와 총론, 각론, 시안을 개발하도록 한 연구개발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아
4차 교육과정에 대한 report입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서지사항
1) 이념 및 기본방향
2) 편제 및 운영
1.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3) 고등학교
(2) 중학교
4차 교육과정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4차교육과정,4차 교육과정,교육과정,교육,제4차 교육과정
제4차 교육과정은 개definition 방침을 ① 이전의 교육과정이 지닌 drawback(걸점)들(학습내용의 과다, 학습하기 어려운 교육내용, 교과목 위주의 분과교육, 일반교육의 소홀, 전인교육과 인간교육의 미흡)을 보완, ② 교육정상화를 위한 교육개혁의 추진(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과열과외 잠재요인 제거), ③ 국민정신교육의 강화(초등학교 교육목표(目標) 내용을 체계화 등 각급학교 교육과정에의 체계적 반영) 등에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