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03:16본문
Download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hwp
조선 세종 때의 측우기가 과학사상 뜻깊은 것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쓰였다는 사실이다.한국의전통교육완성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조사한 문화유산은 측우기,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 혼천의, 훈민정음, 옥루, 거북선, 앙부일구, 간의, 규표 입니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한국에서는 이미 1442년 5월부터 측우기로 우량을 측정(測定) 하였으며, 이것은 이탈리아보다도 약 200년이 빠르다. 주척은 나무 또는 대나무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즉, 대(臺)를 관상감에 만들어서 측우기를 대 위에 올려놓고 비를 받도록 하는데, 관상감의 관원이 직접 주척으로 물의 깊이를 측정(測定) 하여 보고한다.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
측우기와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와 같은 한국 전통문화유산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즉, 비가 내림으로써 흙속 깊이 몇 치까지 빗물이 스며들었는지를 일일이 조사해 보아야 하는데, 이때 흙에는 마르고 젖음이 같지 않아 강우량을 정확히 알아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중앙에는 관상감에, 지방에는 각 도의 감영(監營)에 설치하였다.조사한 문화유산은 측우기,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 혼천의, 훈민정음, 옥루, 거북선, 앙부일구, 간의, 규표 입니다. 금영측우기는 1837년(헌종 3)에 만든 것으로 보물 제561호로 지정되어 기상청에 소장되어 있다
3. 만들어낸 이유
<삼국사기> …(To be continued )
한국의전통교육완성
Download : 한국의 전통교육 - 한국의 전통 문화유산.hwp( 62 )
측우기와 자격루 칠정산 거중기와 같은 한국 전통문화유산에 대해 조사한 data(資料)입니다. 원래 측우기가 쓰이기 이전에는 각 지방의 강우량의 분포를 알아내는 데 매우 불편하였다. 유럽에서는 1639년 로마에서 이탈리아의 B.가스텔리가 처음으로 측우기로 강우량을 관측하였다고 한다.
Ⅰ.측 우 기
1. 요 약
2. 측우기란?
3. 만들어낸 이유
4. 다른 나라와 다른점
5. 측우기의 과학적인 점
Ⅱ. 자 격 루
1.요 약
2. 자격루란?
3. 물시계 부분
4. 자동시보장치
Ⅲ. 칠 정 산
1. 요 약
2. 칠정산이란
3. 칠정산의 구성
4. 칠정산이 가지는 의의
Ⅳ. 거 중 기
1. 요 약
2. 거중기란?
3. 606 거중기의 설계도
4. 정약용과 거중기
5. 화성
Ⅴ. 혼 천 의
1. 요 약:
2. 혼천의란?
3. 과학文化(문화)재 혼천의
Ⅵ. 훈 민 정 음
1. 요 약
2. 훈민정음이란?
3. 훈민정음 창제과정
4. 훈민정음 창제원리
5. 훈민정음 풀이
Ⅶ. 옥 루
1. 요 약:
2. 옥루란 무엇인가?
Ⅷ. 거 북 선
1. 요 약
2. 거북선의 연혁
3. 거북선의 형태와 구조
4. 거북선의 성능
Ⅸ. 앙부일구(仰釜日晷)
1. 앙부일구란?
2.쓰 임 새
3. 구 조
4. 휴대용 앙부일구
5. 앙부일구의 과학적 우수성
Ⅹ. 간의[簡儀]
1. 요 약
2. 간의란?
3. 간의대
4. 소간의
Ⅺ. 규 표
1.요 약
2. 규표란?
3. 규표의 구조
Ⅰ.측 우 기
1. 요 약
: 조선 세종 이후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강우량을 측정(測定) 하기 위하여 쓰인 기구.
2. 측우기란?
1441년(세종 23) 8월에 예조(禮曹)가 측우기를 설치할 것을 건의하여, 다음해 5월에는 측우에 관한 제도를 새로 제정하고 측우기를 만들어 서울과 각 도(道)의 군현(郡縣)에 설치하였다. 프랑스 파리에서는 1658년부터, 영국에서는 1677년부터 관측하였다. 처음에 철로 만들었으나, 뒤에 구리로 만들어 쓰기도 하였고, 지방에서는 자기(瓷器) ·와기(瓦器) 등을 쓰기도 하였다. 그런데 측우기는 일정기간 동안 그 속에 괸 빗물의 깊이를 측정(測定) 하여 그 곳의 강우량으로 하기로 되어 있다 측우기는 안지름이 주척(周尺)으로 7치(14.7 cm), 높이 약 1.5척의 원통으로 되어 있는데, 비가 올 때 이 원통을 집밖에 세워 두면 빗물을 받을 수가 있다 측우기에 괸 물의 깊이는 자[尺]로 측정(測定)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