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o.kr 중국(中國)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 > the6 | the.co.kr report

중국(中國)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 > the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6

중국(中國)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00:27

본문




Download :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pptx






Download :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pptx( 88 )


중국의%20한국전쟁%20참전과%20북중관계_pptx_01.gif 중국의%20한국전쟁%20참전과%20북중관계_pptx_02.gif 중국의%20한국전쟁%20참전과%20북중관계_pptx_03.gif 중국의%20한국전쟁%20참전과%20북중관계_pptx_04.gif 중국의%20한국전쟁%20참전과%20북중관계_pptx_05.gif 중국의%20한국전쟁%20참전과%20북중관계_pptx_06.gif



중국(中國)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
_SLIDE_1_
china(중국) 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
_SLIDE_2_
국제 정세
미?소 양국을 축으로 하는 동.서방 진영간의 정치적, 군사적, 이데올로기적인 갈등

국내정세
1948년8월15일 남한에서 단독정부 수립
1948년10월1일 국군 창설
1948년9월9일 북한도 프로레타리아 독재정부 수립
1948년2월28일 인민군 창설
1948~1950년 38선 인근에서의 잦은 군사적 충돌 발생

한국전쟁 발발 당시 국내외 정세
_SLIDE_3_
1.김일성의 권력탐욕으로 인함.
북한 내 정적 제거 목적[최대 라이벌-남로당당수 박헌영]
2. 남북한의 이념대립 [미소간 냉전체제 형성]
김일성: 한반도 전체의 소련식 공산화추구
이승만: 한반도 전체의 미국식 자유민주화 추구
3.국토통일에 공통된 대한 야망
김일성:소련의 지원하의 국토통일 이루고자 함
이승만:미국의 지원하의 국토통일 이루고자 함.

한국전쟁 발발 원인(原因)
_SLIDE_4_
북한권력 체제
_SLIDE_5_
북한 공산정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脣亡齒寒 )
소련의 경제 및 군사원조를 획득하기 위하여
국가의 정치적 사회적 안정을 이루기 위하여
동남아나 국제무대에서 effect력을 행사하기 위하여
중공군 한국전 참전 동기
_SLIDE_6_




1950년10월 19일 지원군 6개 군단 30만명이 정식으로 압록강을 도하 한반도 진입(10. 16, 1개 연대가 선발대로 진입)
1950년11월초 2차 공세준비를 위해 제9집단군(제20, 25, 27군단) 투입
1951년 2월 제19집단군(제63, 64, 65군단) 투입
1951년4월 제3집단군의 제12, 15, 60군단과 중남군구의 4개 군단이 한반도에 투입
1951년6월 제20집단군(제67, 68군단)과 제50군단 투입
9월 제23집단군(2개 군단 4개 사단)이 비행장 건설을 위해 투입
휴전시까지 4개 집단군 135만명…(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중국,한국전쟁,참전과,북중관계,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중국(中國)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 ,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인문사회레포트 , 중국 한국전쟁 참전과 북중관계


다.
전체 12,72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