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윤회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08:40본문
Download : 불교의 윤회설.hwp
일정한 자아가 윤회하는 것이 아니라 업으로 대표되는 일련의 행위들이 윤회인 셈이다. 이러한 선행은 탐진치를 멀리하는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4. 윤회와 文化
죽음이라는 인간의 불안전성, 그 두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이 윤회의 concept(개념) 형성에 影響을 미쳤다. 궁국의 선은 탐진치 지멸의 마음 상태이며,…(To be continued )
Download : 불교의 윤회설.hwp( 35 )
다. 업의 자아가 선업/선행을 추구한다는 것은 보다 근원적으로 말하여 탐욕, 싫
어함/미워함/성냄, 어리석음의 탐진치 (탐욕·진에(瞋恚:화냄)·우치(愚癡:어리석음)의 멸을 추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스의 플라톤도 ‘파이돈’에서 윤회사상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고, 유대교의 카발라(중세 유대교의 신비사상)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윤회가 널리 인정됐다.
5. 현대적 의의
밝혔듯이, 윤회란 업이 반복되는 행위이다. 윤회를 피하는 것은 이러한 윤회의 조건을 직시하고 윤회를 일으키는 것들을 구하지 않는 것이다. 붓다는 중생에게 선행을 요구 했다. 기독교에서 윤회concept(개념)이 금지된 것은 여러 번 생을 반복하며 마침내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윤회의 이상적 관념이 황제나 교회 또는 기독교 사제들의 입장에서 자신들의 권위를 약화시킬 수 있는 위험한 요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붓다는 무상·고·무아를 모르는 중생은 12연기라는 구조 속에서 오온에 집착하며, 오온에 대한 집착이 윤회를 만들고, 외부대상에 대한 집착이 윤회를 만든다고 본다.
불교의윤회설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불교의윤회설 , 불교의 윤회설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불교의 윤회설
설명
1. 불교의 윤회설이란.
2. 윤회의 주체
3. 윤회의 原因
4. 윤회와 文化
5. 현대적 의의
3. 윤회의 原因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윤회의 자아는 무명으로 스타트하는 12연기라는 심적·실제적 존재 구조를 가지며, 오온(몸,色, 감각 受, 생각 想, 의지/성향 行, 의식 識)을 자아로 집착한다. 즉, 행위의 축적인 것이다. 여기에서의 외부대상은 인간일 수도 있고, 가축, 금은과 같은 재물등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중생은 윤회의 조건 속에 있으면서, 윤회의 조건을 구하기 때문에 윤회를 계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윤회는 인도만의 concept(개념)은 아니고 서양에서도 미라를 만든 이집트인들의 환생concept(개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