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co.kr 한국의 색채와 未來(미래) > the4 | the.co.kr report

한국의 색채와 未來(미래) > the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he4

한국의 색채와 未來(미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4:39

본문




Download : 한국의 색채와 미래.hwp





또 동일부재라도 광선을 많이 받는 옆면에는 각종 색을 넣어서 미려하게 장식하고 그늘진 밑면에는 명도가 높은 붉은 미색을 써서 공간미와 율동미를 더하였다.
이때의 화공들은 외광(外光)을 받는 기둥에는 붉은 색을 칠하여 힘과 능력을 강조하고, 추녀나 처마부분에는 녹청색으로 처리하여 그늘진 곳의 명도를 높여서 전체조화를 이룩하였다.

레포트/공학기술


한국의 전통색채의식과 오방색 등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 색채의 미래에 대해 전망한 자료입니다.


한국의 전통색채의식과 오방색 등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 색채의 未來(미래)에 대해 전망한 reference(자료)입니다.색채리포트 , 한국의 색채와 미래공학기술레포트 ,

한국의 색채와 未來(미래)

Download : 한국의 색채와 미래.hwp( 33 )


순서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색채리포트



목 차


1. 서론 - 한국전통색채의식

- 지역과 環境(환경)의 요인

2. 본론 - 오방색

- 단청색

- 한국건축색채

- 성체계, 속체계의 색상

3. 結論(결론)




고려대에는 단청화공들이 색조의 구사법이 완숙되어 미적 조화를 얻는데 성공하였다. 따라서 이 시대의 단청은 실내외 다같이 선명 화려하게 하였다.
조선시대에 쓰이던 단청색도 전대를 이어받았으되 보다 화려한 색이 즐겨 쓰이었다. 즉 위는 푸르고, 밑은 붉게 소위 상록하단(上錄下丹)의 원칙을 지킨 것 같다. 이때 쓰인…(투비컨티뉴드 )
한국의%20색채와%20미래_hwp_01.gif 한국의%20색채와%20미래_hwp_02.gif 한국의%20색채와%20미래_hwp_03.gif 한국의%20색채와%20미래_hwp_04.gif 한국의%20색채와%20미래_hwp_05.gif 한국의%20색채와%20미래_hwp_06.gif


다.

조선대에 와서는 건물의 내외단청이 다른 색조로 변한다 .
외부단청은 밝고 감도가 높은 등황색조를 증가시켰으며 실내는 비교적 온화하고 차분한 녹청색으로 처리하여 장식의 명도를 높였다.
전체 12,75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he.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