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 된쟁점연구 -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된 쟁점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09:13
본문
Download : 법인의정관의변경과관련된쟁점연구.hwp
② 정관의 변경은 주무관청의 허가를 얻지 아니하면 그 효력이 없다.
(2) 社團法人은 인적결합체로서 그 조직이나 활동은 모두 구성원의 자주적 의사결정에 의하여 정하여지므로, 사원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정관을 변경하는 것이 자유롭다.
1) 사원총회의 결의
정관변경은 사원총회의 전권사항이므로, 정관에 예컨대 이사회의 결의로 변경할 수 있다고 규정하더라도 그 정관의 규정은 무효이다.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 된쟁점연구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 된쟁점연구 -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된 쟁점 연구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된 쟁점 연구
1. 정관 변경의 의의
(1) 정관의 변경이라 함은 법인이 그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그 조직을 변경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종중이 일부 宗員을 종원으로 취급하지 아니하거나 宗員으로서의 자격을 박탈하는 내용으로 종중규약(정관)을 개정하는 것은 종중의 본질에 반하는 것으로서 정관변경…(투비컨티뉴드 )
법인의,정관의,변경과,관련,된쟁점연구,-,법인의,정관의,변경과,관련된,쟁점,연구,법학행정,레포트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 된쟁점연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2. 사단법인의 정관변경
(1) 요 건
제42조 [사단법인의 정관의 변경] ① 사단법인의 정관은 총사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있는 때에 한하여 이를 변경할 수 있따 그러나 정수에 관하여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때에는 그 규정에 의한다.
(2) 정관변경의 한계
1) 정관에 그 정관변경을 할 수 없다고 규정하더라도 사단법인의 성질상, 全社員의 동의가 있으면 변경할 수 있다고 한다는 것이 통설이다. 따라서 그 정관은 원칙적으로 변경하지 못하고, 일정한 경우(제45조, 제46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인정된다된다. 주무관청의 허가 여부는 자유재량이다. ,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 된쟁점연구 -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된 쟁점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 된쟁점연구 - 법인의 정관의 변경과 관련된 쟁점 연구
다.
(3) 財團法人은 설립자가 정한 근본규칙 즉 정관에 따라 운영되는 타율적 법인이며, 법인의 활동을 자주적으로 결정하는 기관을 가지지 않는다.
2) 주무관청의 허가
정관의 변경은 주무관청의 허가를 얻지 않으면 효력이 없다. 따라서 사단법인이든 재단법인이든 주무관청의 허가를 요한다.
2) 다만 사단법인의 본질에 반하는 정관의 변경은 무효이다.순서
Download : 법인의정관의변경과관련된쟁점연구.hwp( 11 )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그리고 정관의 목적도 제42조가 정하는 보통의 정관변경절차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는 데에 학설이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