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족과 가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7 06:09
본문
Download : 친족과 가족.doc
즉 아버지와 아들은 1대니까 1촌이고, 할아버지와 손자는 2대니까 2촌이다. 가족과친척 , 친족과 가족법학행정레포트 ,
가족과친척
순서




(2) 혈족/척족/친족
1) 혈족
- 남자 조상이 같은 집안을 핏줄 또는 혈족이라고 함. 동성 동본(同性同本)의 일가
- 직계(直系)와 방계(傍系)로 나뉘는데 자기와 직결로 이어지면 직계 혈족이고(아버지와 아들, 손자), 가지를 뻗어 이어지면 방계 혈족(형제 자매, 백숙부, 조카)
2) 척족
- 성이 다른 친족
- 외척(外戚) : 직계 여자 조상(할머니, 어머니)의 친정 가족으로 외가(外家)의 친족
- 내척(內戚) : 직계 존속 남자의 자매(고모, 대고모)나 자기의 자매(누이) 또는 딸이나 손녀가 시집가서 그 배우자와 낳은 자손을 말함.
- 인척(姻戚) : 혼인으로 인해서 집안.친족이 된 사람.
3) 친족
- 촌수가 가까운 한 핏줄로 배우자, 혈족, 인척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엄격한 의미에서의 친족은 고조 할아버지 이하의 조상을 직계 할아버지로 하는
혈족과 그 배우자를 말하며 근친(近親)이라 한다.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친족과 가족
Download : 친족과 가족.doc( 45 )
다.
가족의 구성과 형태, 혈족, 적족, 가족의 의의 등 친족과 가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 촌수를 따지는 방법은 먼저 자기와 상대가 누구를 동일 조상으로 하는지 분 기점을 알아서, 자기와 그 분기점까지의 대수(代數)와 분기점에서 상대까지의 대수를 합해서 촌수로 한다. 이 근친을 한 집안이라는 의미로
당내간(堂內間)이라 하고,죽으면 상복을 입는 친척이라는 뜻으로 유복지친
(有服之親)이라고도 함.
① 자기와 남편의 8친등 이내의 부계 혈족,
② 자기와 남편의 4친등 이 내의 모계 혈족,
③ 아내의 부모를 지칭
(3) 촌수 따지는 법
- 계촌(系寸)이란 혈연 관계의 계통과 그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촌수를 말함.
- 계통은 혈통이 어떻게 흘러내려 가지를 뻗었으며 자기와 상대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나타내고, 촌수는 자기와 상대의 사이에 몇 마디의 분기점을 갖느냐는 표현이다.
② 방계 가족과의 촌…(투비컨티뉴드 )
,법학행정,레포트
가족의 구성과 형태, 혈족, 적족, 가족의 의의 등 친족과 가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① 직계 가족과의 촌수는 자기와 대상까지의 대수(代數)가 촌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