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과정을 거쳤는 가 /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5:37
본문
Download : [인문]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hwp
주시경에 의해 ‘ ’음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이숭녕, 최현배, 허웅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논의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아 때문에 이숭녕, 최현배, 허웅의 ‘ ’의 음가에 대한 논의를 목차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이숭녕은 ‘ ’음은 후설모음이라고 주장했다.
설명
Download : [인문]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hwp( 32 )
‘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 -요약...
‘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 -요약...
![[인문]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112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B%AA%A8%EC%9D%8C)%EC%9D%98%20%EC%9D%8C%EA%B0%80%20%EB%B3%80%EC%B2%9C%EC%9D%80%20%EC%96%B4%EB%96%A0%ED%95%9C%20%EC%8B%9C%EA%B8%B0%EC%97%90%20%EC%96%B4%EB%96%A0%ED%95%9C%20%EA%B3%BC%EC%A0%95%EC%9D%84%20%EA%B1%B0%EC%B3%A4%EB%8A%94%EA%B0%80-1125_01.gif)
![[인문]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112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B%AA%A8%EC%9D%8C)%EC%9D%98%20%EC%9D%8C%EA%B0%80%20%EB%B3%80%EC%B2%9C%EC%9D%80%20%EC%96%B4%EB%96%A0%ED%95%9C%20%EC%8B%9C%EA%B8%B0%EC%97%90%20%EC%96%B4%EB%96%A0%ED%95%9C%20%EA%B3%BC%EC%A0%95%EC%9D%84%20%EA%B1%B0%EC%B3%A4%EB%8A%94%EA%B0%80-1125_02_.gif)
![[인문]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112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B%AA%A8%EC%9D%8C)%EC%9D%98%20%EC%9D%8C%EA%B0%80%20%EB%B3%80%EC%B2%9C%EC%9D%80%20%EC%96%B4%EB%96%A0%ED%95%9C%20%EC%8B%9C%EA%B8%B0%EC%97%90%20%EC%96%B4%EB%96%A0%ED%95%9C%20%EA%B3%BC%EC%A0%95%EC%9D%84%20%EA%B1%B0%EC%B3%A4%EB%8A%94%EA%B0%80-1125_03_.gif)


‘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 -요약- ‘ ’의 음가에 대한 논의는 이숭녕, 최현배, 허웅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논의 되었다고 볼 수 있다아 이숭녕은 ‘ ’음은 후설모음이라고 주장했다. ‘ ’는 모음의 대립에서 ‘으’와 대립되어 모음의 체계를 이루며, ‘ ’음의 음색에서 ‘으’보다 ‘强, 輕…’한 청각 인상을 가진다고 하였다. ‘ ’음은 acute vowel(날카로운, 격한 모음), high pitch(고음), “ 노 소리”이며, 장모음일 수도 있다고 보았다. 최현배는 ‘ ’의 음가를 복판 홀소리라고 단정하였으며, ‘ ’의 변천에 대하여, ‘ ’소리 자체의 마디점의 위치, 그 바탕, 혹은 다른 사정으로 인하여 다른 소리로 변함에 다달아, 다른 외부적 사정이 없는 다음엔, 그 가장 가까운 것으로 가장 많이 변하고, 그 덜 가까운 소리로는 덜 많이 변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 ’음의 위치는 ‘아,오’의 간음(間音)이라고 하였는데, 즉 ‘아-오’의 선에서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한다고 보았다. ‘ ’의 음가에 대한 논의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졌다. 허웅은 ‘ㆍ’가 ㅏ 와 ㅗ 에 가까운 ‘뒤-낮은 홀소리’라고 규정하면서 이숭녕과 비슷한 견해를 내세우지만, ‘ㆍ’의 소멸시기에 있어서 이숭녕과 최현배가 17세기설을 주장한 반면 허웅은 18세기설을 주장한다. ‘ ’음의 발달에 대상으로하여 이숭녕은 ‘ ’음은 제2음절 이하에서 제일차로 동요하고 다시 제이차로 그 동요가 제일음절에서 동요되고 다른 모음과 교체되었다고 보았는데, ‘ 아’가 절대적인 발달 公式(공식)이고, ‘ 오’의 결합적 公式(공식)이 다음 간다고 하였다. ‘ ’음...
인문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과정을 거쳤는 가 / ‘
순서
[인문] (모음)의 음가 변천은 어떠한 시기에 어떠한과정을 거쳤는 가 /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