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정세와the twenty-first century한반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21:15
본문
Download : 동북아정세와21세기한반도.hwp
동북아정세와21세기한반도 , 동북아정세와21세기한반도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동북아정세와the twenty-first century한반도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경영경제,레포트
동북아정세와21세기한반도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Download : 동북아정세와21세기한반도.hwp( 48 )





동북아정세와the twenty-first century한반도
동북아정세와the twenty-first century한반도
- 남북관계의 改善(개선) 없이 동북아 협력사업은 불구임--> 경의선, 동해선 철도 및 도로 연결사업의 의미 (북한이 뚫리지 않으면 진정한 동북아 수송네트워크는 완결될 수 없음)
- 즉, 남북한 관계를 동북아질서의 틀 속에서 풀어내고, 동북아질서의 구축을 통해 남북한관계를 진전시켜나겠다는 발상임.
- 참여정부의 ‘평화번영정책’은 대북정책 (통일정책이 아님)이기도 하지만 한반도 정책이자 동북아정책임.
- 북한을 一國으로 보지 말고 한반도의 일부, 더 나아가 동아의 일부로 보고 접근하는 새로운 인식론이 필요함.
- 북핵문제는 6자회담을 통해 외교적으로 해결함: 중국(中國)의 긍정적 역할이 두드러짐.
o 동북아 에너지협력사업과 북한문제
- 북한 에너지문제의 심각성: 에너지난의 해소없이 북한의 재건은 불가능함.
- 동북아에너지협력의 틀속에서 북한에너지문제를 접근
o 가스파이프라인 건설사업
- 정부, 민간자본, 국영기업 등…(省略)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