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instance(사례)[Chin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1:41
본문
Download : 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사례[중국].hwp
(5) SWOP分析(분석)
(2) 기업내역
설명
![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사례[중국]-118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8C%80%EC%9E%90%EB%8F%99%EC%B0%A8%20%ED%95%B4%EC%99%B8%20%EC%A7%84%EC%B6%9C%20%EC%82%AC%EB%A1%80%5B%EC%A4%91%EA%B5%AD%5D-1182_01.gif)
![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사례[중국]-118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8C%80%EC%9E%90%EB%8F%99%EC%B0%A8%20%ED%95%B4%EC%99%B8%20%EC%A7%84%EC%B6%9C%20%EC%82%AC%EB%A1%80%5B%EC%A4%91%EA%B5%AD%5D-1182_02_.gif)
![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사례[중국]-118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8C%80%EC%9E%90%EB%8F%99%EC%B0%A8%20%ED%95%B4%EC%99%B8%20%EC%A7%84%EC%B6%9C%20%EC%82%AC%EB%A1%80%5B%EC%A4%91%EA%B5%AD%5D-1182_03_.gif)
![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사례[중국]-1182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8C%80%EC%9E%90%EB%8F%99%EC%B0%A8%20%ED%95%B4%EC%99%B8%20%EC%A7%84%EC%B6%9C%20%EC%82%AC%EB%A1%80%5B%EC%A4%91%EA%B5%AD%5D-1182_04_.gif)
![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사례[중국]-1182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8C%80%EC%9E%90%EB%8F%99%EC%B0%A8%20%ED%95%B4%EC%99%B8%20%EC%A7%84%EC%B6%9C%20%EC%82%AC%EB%A1%80%5B%EC%A4%91%EA%B5%AD%5D-1182_05_.gif)
(1) 기업紹介(소개)
(1) 진출 배경 및 과정
② 4S SHOP
1. 서론 (1) 진출 배경 및 과정 2. 본론 (1) 기업소개 (2) 기업현황 (3) 사업전략 ① 4P전략 ② 4S SHOP ③ 딜러교육 (4) 국제경쟁업체? (5) SWOP분석 3. 결론 (1) 향후 중국자동차 시장 (2) 앞으로 나아갈 방향 ※ 참고문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③ 딜러교육
3. 結論
다.
현대자동차의 본격적인 중국 진출 사업은 1993년 둥난자동차와 합작으로 우한완퉁 자동차유한회사를 설립한 것이 시초이다.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instance(사례)[China]
Download : 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사례[중국].hwp( 87 )
1. 서론
(3) 사업전략(strategy)
현대자동차 해외 진출 사례,현대자동차중국진출,현대자동차
(4) 국제경쟁업체?
※ Reference List
순서
(1) 향후 China자동차 시장
① 4P전략(strategy)
2. 본론
(2) 앞으로 나아갈 방향
2002년 3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둥펑, 웨다그룹은 새로운 합작 법인을 만드는 데 합의하고 관련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회사명칭은 기존의 ‘웨다기아자동차유한회사’에서 ‘둥펑웨다기아자동차유한회사’로 변경하였고, 총 투자액을 기존의 2,980만 달러로부터 9,800만 달러로 확대하고 등록 자본금 역시 기존의 1,500만 달러에서 7,000만 달러로 증자로 하였따. 우한완퉁 지분 처리와 관련해, 현대자동차는 우한완퉁 지분 21.4%를 전부 둥펑그룹에 이전하기로 하였다,
현대자동차의 독자적인 중국 진출은 2002년 베이징(北京)자동차와의 합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현대자동차는 베이징현대에 이어 중국상용차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광저우기차와 상용차 합작사인 ‘광저우 현대기차 유한공사’를 설립하여 상용차 생산 및 판매, 연구개발, A/S, 물류 등 상용차 전 부문에 걸쳐 합작사업을 추진하였다. 우한완퉁은 현대로부터 기술 도입을 추진하면서 현대자동차의 지분 투자를 통해 생산을 스타트하였으나, 2002년 둥펑웨다기아의 합작으로 인해 우한완퉁의 지분을 전부 둥펑그룹에 이전한 후 정식으로 우한완퉁에서 퇴출하였다. 2002년 5월, 현대자동차와 베이징자동차는 50:50의 합자로 ‘베이징현대자동차유한회사’를 설립하기로 계약하고, 2002년 9월 중국 政府의 비준을 취득하여 10월에 정식으로 ‘베이징현대자동차유한회사’를 설립하였다. 한편, 기아자동차는 1997년 웨다그룹과 합자 계약을 체결하여 50:50의 지분으로 웨다기아자동차유한회사를 설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