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의 새로운 지역구조와 한반도 국토재편의 기본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22:12
본문
Download : 동북아의 새로운 지역구조와 한반도 국토재편의 기본구상.hwp
본 논문에서 가장 중심적인 관념은 지역연휴(regional alliance and collaboration)이며, 그 요체는 한반도의 입지적 자산과 주변국의 입지적 자산의 공유 및 활용에 있따 예를 들면, China, 러시아 대륙 및 日本(일본)과의 경제적 상호 보완성을 활용하면서 동북아에서의 수송-물류네트워크의 거점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한반도와 주변국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할 수 있고 한반도 자체의 입지적 자산도 확충할 수 있따 그러나 수송-물류네트워크를 통한 지역연휴가 보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이 되기 위해서는 주변국의 정보와 culture를 흡수하고 전파할 수 있는 지적 기반의 구축이 병행되어야만 한다.본 자료는 동북아의 새로운 지역구조와 한반도 국토재편의 기본구상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입니다. 본 논문에서는 경제 지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한반도의 연계성 확보책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동북아에서 한반도가 보다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주변 4강의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자세로 그 역할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와 있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한반도는 비록 통일에 따른 시장규모의 확대나 북한 노동력에 의한 가격경쟁력의 회복 등 단기간의 통일이익을 누릴 수가 있을 것이나, 장기적으로는 거대 China과 기술선진국 日本(일본)사이에서 어려운 경쟁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자연과학,레포트
레포트/자연과학
다.동북아의새로운지역구 , 동북아의 새로운 지역구조와 한반도 국토재편의 기본구상자연과학레포트 ,
Download : 동북아의 새로운 지역구조와 한반도 국토재편의 기본구상.hwp( 34 )
순서
동북아의 새로운 지역구조와 한반도 국토재편의 기본구상






동북아의새로운지역구
I. 서론
II. 동아시아 지역구조 변동추세와 展望
1. 동아시아 지역구조 변동의 동인
2. 동아시아 도시위계와 주요 성장견인지역
3. 동아시아 성장견인지역의 연계화 展望
4. 동북아 지역구조와 한반도의 장래
III. 한반도 국토통합을 위한 책략
IV. 한반도 내부공간구조의 재편
V. 결 론
참 고 문 헌
I. 서론
세계경제의 한 축으로써 부상하고 있는 동북아는 the twenty-first century 한반도의 장래를 결정지을 environment(환경) 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동북아의 과거 냉전체제의 구도가 와해되기 처음 하고 아직 새로운 질서가 정립되지 않고 있는 유동적인 상황을 감안할 때 한반도의 역할은 가변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연계성의 확보는 한반도의 안보를 위해서나 경제적 생존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며, 다방면에서의 연계성확보 책략이 동시에 모색되어야 실효를 거둘 수가 있을 것이다. China이나 日本(일본)과 전면적인 경쟁을 원치 않는다면 한반도가 취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은 China, 日本(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가와의 상호 보완적인 산업구조를 구축하고 culture적으로도 교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계성을 확보해야만 할 것이다.
한반도의 연결고…(To be continued )
설명
본 資料는 동북아의 새로운 지역구조와 한반도 국토재편의 기본구상에 대해 정리(arrangement)한 보고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