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10:09
본문
Download : 기독교 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hwp
2. 인간의 지고선(至高善)(summum bonum)
⑴ 비기독교적 지고선 (summum bonum)
현재 있는 그대로의 존재를 정상적인 것으로 아무런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는 것이 기독교적인 시각과 다른 점이다. 그들은 인간의 의지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의지도 배경을 갖는다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그리고 그들의 최종적인 권위로서는 성경이 필요 없다고 주장한다.기독교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 , 기독교 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인문사회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기독교 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에 대한 글입니다. 비유신론은 불확실한 실재를 가정하면서 출발한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기독교 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
다.
기독교 윤리학과 비기독교 윤리학 사이를 구분하는 근본적인 차이점은 하나님의 거룩함을 전제 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하나님께서는 선하게 될 必要性이 없다. 하나님은 그 자신이 거룩하시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인간이 무엇이 옳고 그른가를 하나님께 여쭈어 보아야 한다. 비기독교적 윤리학에 따르면 완전한 세계란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하나님께 대한 거부는 현재의 경험을 우리의 판단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편이 하고도 순진하게 들리는 표어 아래 숨겨져 있다아 그들은 말하기를 인간들의 악이 영원한 것으로 우주 안에 침투해 들어왔다는 결과를 취하고 있으며 비기독교 윤리학자들에 따르면 관념론(idealism)과 실용주의(pragmatism)로 해석하는데, 관념론적인 사고 형태를 ‘부드러운 마음(tender-minded)라고 불렀고 실용주의적인 사고 형태를 ’거친 마음‘(tough-minded)…(To be continued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기독교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
Download : 기독교 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hwp( 69 )
기독교 윤리학(코넬리우스반틸)에 대한 글입니다. 결국 그들은 혼자의 힘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Ⅰ. 서론
Ⅱ. 본론
1. 기독교 윤리의 범위와 전제
⑴ 범위
⑵ 전제
㈎ 기독교 윤리의 인식론적 전제
㈏ 기독교 윤리학의 형이상학적 전제
2. 인간의 지고선(至高善)(summum bonum)
⑴ 비기독교적 지고선 (summum bonum)
⑵ 성경적 지고선(至高善)(summum bonum)
㈎ 구약 성경의 지고선
㈏ 신약 성경의 지고선
Ⅲ. conclusion(결론)
㈏ 기독교 윤리학의 형이상학적 전제
기독교적 윤리와 비기독교적 윤리의 차이는 궁극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하나님에 대한 관념 때문일것이다 비기독교적 윤리는 하나님에 대한 관념이 모든 윤리적 결정에 대한 자살 행위라고 말한다. 그들에게는 하나님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들의 표명은 행동주의이다. 그러나 기독교적 윤리에서는 하나님은 절대적인 합리성이며 절대적인 의지이시기도 하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