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학계의 전근대 시대구분과 사회성격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04:25
본문
Download : 남한 학계의 전근대 시대구분과 사회성격 논의.hwp
Japan에서는 이미 1880년대 중반 이후 사학과와 국사학과가 순서로 설치되면서 서양사를 통해 랑케(L. Ranke)류의 문헌고증학적인 독일 歷史학이 도입되고 있었다. 일견 서구의 3시대구분법을 적용한 듯하나 실은 왕조별 시대구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아 그것…(투비컨티뉴드 )
다. 이에 따라 도쿄대를 중심으로 근대歷史학을 공부한 인물들이 배출되어 이른바 관학 아카데미즘을 형성하고 본격적인 한국사연구에 착수하면서 식민사관의 틀을 만들어가기 스타트하였다.
이 시기에 Japan인이 서술한 대표적인 통사로는 하야시(林泰輔)의 『조선사』(朝鮮史, 전5권, 1892년), 『조선최근세사』(朝鮮最近世史, 전2권, 1901년) 및 이 두 저작을 종합하여 서술한 『조선통사』(朝鮮通史, 1912년), 그리고 니시무라(西村豊)의 『조선사강』(朝鮮史綱, 1895년), 구보(久保天隨)의 『조선사』(朝鮮史, 1905년) 등이 있다아
이 가운데 식민사학의 기초적인 골격을 마련한 하야시는 『조선사』에서 한국사를 태고(한사군까지)-상고(삼국 및 통일신라)-중고(고려)-근세(조선)로 시대구분하였다.남한학계의전근대시대구분과사회성격논의 , 남한 학계의 전근대 시대구분과 사회성격 논의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남한 학계에서의 전근대 시대구분 유형과 각 시대의 사회성격에 대한 특징에 마주향하여 요점하였습니다.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남한 학계의 전근대 시대구분과 사회성격 논의.hwp( 48 )
1. 시대구분의 의의
2. 일제시기의 시대구분
3. 8·15해방 직후의 시대구분
4. 1950년대의 시대구분
5. 1960,70년대의 시대구분
6. 1980년대의 시대구분
7. 시대구분론의 진전을 위하여
2. 일제시기의 시대구분
1. 식민사학
우리나라 歷史가 처음으로 근대歷史학의 방법으로 서술된 것은 Japan인에 의해서였다.남한 학계의 전근대 시대구분과 사회성격 논의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남한학계의전근대시대구분과사회성격논의
남한 학계에서의 전근대 시대구분 유형과 각 시대의 사회성격에 대한 특징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