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지능 theory(이론)과 열린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09:36
본문
Download : 다중지능 이론과 열린교육.hwp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의 지능을 지능검사의 단일한 척도로 보기 때문에, 지능이란 지능검사의 문항에 조작적으로 답하는 능력으로 정이하였다. 이런 정이를 기초로 생물학적, 문화인류학적 증거를 들어 지능에 대한 여덟 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이 기준에 …(생략(省略))
설명
다중지능theory(이론)과열린교육222
다중지능 theory(이론)과 열린교육
Download : 다중지능 이론과 열린교육.hwp( 39 )
다중지능이론과열린교육222 , 다중지능 이론과 열린교육사범교육레포트 ,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레포트
순서
다. 이 팀의 연구경향은 1970년대부터 두 가지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하나는 데이비드 퍼킨스에 의해 지도되는 “인지적 기술 집단”이고, 다른 하나는 본 연구의 key point(핵심) 이론(理論)인 다중지능 이론(理論)을 개발시킨 Gardner에 의한 “발달집단”이다. 이 중 후자는 수업과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program]) 개발을 통해 인간 발달에 대한 이해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따 또한 두 연구집단 모두는 학교 내외적인 측면에서 교육을 改善(개선) 하기 위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협동적 체제를 구축하고 있따 프로젝트 제로는 지난 20여 년 간 100명이 넘은 연구자들이 이 연구팀에 참여하였고, 인류와 사회과학의 다양한 측면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Howard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理論)(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은 학습자의 잠재력 계발과 함께 한국 열린교육의 정이 적/실천적 아이디어를 제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할 수 있따
인간의 능력과 가능성에 관해 많은 이론(理論)들이 논의되어 왔고, 그 이론(理論)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Gardner(1983)는 기존의 지능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지능을 문제해결 능력 또는 특정한 문화적 상황의 결과로서 형성된 산품(products)을 창조해내는 능력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런 능력은 주로 논리적 및 언어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필답검사 형태의 표준화된 언어적 도구에 의해 측정(測定) 되었다.
Ⅱ. 다중지능 이론(理論)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하바드 대학의 사범대학 내 부설연구기관인 하바드 프로젝트 제로 (Harvard Project Zero)는 1967년 예술을 통해 교육을 改善(개선) 하고 연구하는 교육철학자인 넬슨 굳맨에 의해 개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