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port] 에디톨로지(김정운) -지식은 편집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5:34
본문
Download : [독후감]에디톨로지(김정운) 10.hwp
그러는 사이 세상은 급격히 변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선택과 지각의 반대편에는 ‘무주의 맹시’라는 현상이 있다.!
설명
PART 01. 지식과 文化(문화)의 에디톨로지
[book report] 에디톨로지(김정운) -지식은 편집이다
PART 02. 관점과 장소의 에디톨로지
![[독후감]에디톨로지(김정운) 10-6745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1/%5B%EB%8F%85%ED%9B%84%EA%B0%90%5D%EC%97%90%EB%94%94%ED%86%A8%EB%A1%9C%EC%A7%80(%EA%B9%80%EC%A0%95%EC%9A%B4)%2010-6745_01.jpg)
![[독후감]에디톨로지(김정운) 10-6745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1/%5B%EB%8F%85%ED%9B%84%EA%B0%90%5D%EC%97%90%EB%94%94%ED%86%A8%EB%A1%9C%EC%A7%80(%EA%B9%80%EC%A0%95%EC%9A%B4)%2010-6745_02_.jpg)
![[독후감]에디톨로지(김정운) 10-6745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1/%5B%EB%8F%85%ED%9B%84%EA%B0%90%5D%EC%97%90%EB%94%94%ED%86%A8%EB%A1%9C%EC%A7%80(%EA%B9%80%EC%A0%95%EC%9A%B4)%2010-6745_03_.jpg)
![[독후감]에디톨로지(김정운) 10-6745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1/%5B%EB%8F%85%ED%9B%84%EA%B0%90%5D%EC%97%90%EB%94%94%ED%86%A8%EB%A1%9C%EC%A7%80(%EA%B9%80%EC%A0%95%EC%9A%B4)%2010-6745_04_.jpg)
![[독후감]에디톨로지(김정운) 10-6745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1/%5B%EB%8F%85%ED%9B%84%EA%B0%90%5D%EC%97%90%EB%94%94%ED%86%A8%EB%A1%9C%EC%A7%80(%EA%B9%80%EC%A0%95%EC%9A%B4)%2010-6745_05_.jpg)
2. 감상
- 1부 ‘지식과 文化(문화)의 에디톨로지’에서는 마우스의 발명과 하이퍼텍스트가 core 주제다. 마우스라는 도구의 발명이 인간 의식에 가져온 變化를 중심으로, 지식과 文化(문화)가 어떻게 편집되는가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說明)했다 p. 9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의 화제의 최신간 !
- 에디톨로지는 그저 섞는 게 아닐것이다.
순서
1. 내용 요약
다. p.19
PART 01. 지식과 文化(문화)의 에디톨로지
01 왜 에디톨로지인가?
PART 03. 마음과 심리학의 에디톨로지
: 인간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은 매우 편파적이고 제멋대로이다. . 그럴듯하게 짜깁기하는 것도 물론 아닐것이다. p.20
프롤로그 | 편집된 세상을 에디톨로지로 읽는다
- 인간은 자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만 본다. p.24
1. 내용 요약
Download : [독후감]에디톨로지(김정운) 10.hwp( 11 )
: ‘이이토코도리’, 즉 ‘좋은 것은 기꺼이 취한다!’는 일본식 文化(문화) 편집 방식이야말로 일본의 정체성이라고 주장하는 일본 사람들의 글을 보고 구상을 스타트하게 된 에디톨로지. 8년이란 시간이 지난 지금, 처음 생각과는 다르게 세상에 나왔다. 이 같은 ‘편집의 방법론’을 통틀어 나는 ‘에디톨로지’라고 명명한다. 신문이나 잡지의 편집자가 원고를 모아 지면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 혹은 영화 편집자가 거친 촬영 자료(data)들을 모아 속도나 장면의 길이를 편집하여 관객들에게 전혀 다른 경험을 가능케 하는 것처럼, 우리는 세상의 모든 사건과 의미를 각자의 방식으로 편집한다. . ‘편집의 단위’ ‘ 편집의 차원’이 복잡하게 얽혀 들어가는, 인식의 패러다임 구성 과정에 관한 설명(說明)이다. 이 모든 과정을 나는 한마디로 ‘편집’이라고 定義(정의)한다. 그리고 그 자극을 통해 정보를. 정보를 연합하여 지식으로 구성해야 한다. 우선 주변의 자극에 대해 제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충실한 내용 요점와 좋은 문구 발췌! 그리고 감상까지 !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의 화제의 최신간 ! 충실한 내용 정리와 좋은 문구 발췌! 그리고 감상까지 ! 순도 100% 저의 정리와 감상입니다. 이미 주변에 널린 자극, 정보를 새롭게 편집하여 내놓는 것! 이것이 창조이고 그 구체적 방법론이 에디톨로지이다. 세상 모든 것들은 끊임없이 구성되고, 해체되고, 재구성된다된다. p.7
프롤로그 | 편집된 세상을 에디톨로지로 읽는다
에필로그 |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은, 아주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순도 100% 저의 요점와 감상입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자극의 ‘선택적 지각’이라고 한다. 자기가 보고 싶은 것에만 집중하느라 정작 중요한 것은 놓치게 되는 현상을 뜻한다.에디톨로지, 김정운, 에디톨로지 독후감
- 에디톨로지는 다시 말해 ‘편집학’이다. 그 變化를 따라가지 못해 노키아와 모토롤라는 몰락을 경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