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설리반(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22:31
본문
Download : [유아교육] 설리반(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hwp
이는 자아보호체계(self-protecting system)라는 용어로 보다 더 잘 설명(explanation)될 수 있는데, 이는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정서적 안전감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작동기제(security operations)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자아보호체계란 정서적 괴로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보다 정서적인 안락함을 추구하기 위해 개인이 대인관계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전략(strategy)을 말한다. 성격의 본질과 자아체계, 성격의 양상에 상대하여 요약했습니다. 여러모로 활용이 되기를 바라며, 항상 행복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다. 여러모로 활용이 되기를 바라며, 항상 행복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유아교육학]설리반의대인관계이론 , [유아교육] 설리반(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인문사회레포트 ,
ⅰ) 성격의 본질
ⅱ) 자아체계
ⅲ) 성격의 양상
어떻든, 개인이 생리적 욕구와 사회심리적 욕구를 해결함으로써 달성되는 두 가지 목적인 ‘만족’과 ‘안전’은 바로 성격의 방향과 형태를 결정하는데, 이는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이다.
한편, 설리반은 유아기에 나타나는 두 가지 추가적인 욕구로서 힘의 동기(power motive)와 신체적 밀착감의 욕구(physical closeness motive)를 들었는데, 이러한 욕구들은 근본적으로 사회심리적 욕구에서 파생된다 유아들은 힘의 동기와 신체적 밀착감의 동기를 성취하고자 하나, 그가 태어나서 최초로 깨닫는 것 중의 하나는 자신의 무기력이다.
Download : [유아교육] 설리반(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hwp( 78 )
![[유아교육]%20설리반(Sullivan)의%20대인관계이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4%A4%EB%A6%AC%EB%B0%98(Sullivan)%EC%9D%98%20%EB%8C%80%EC%9D%B8%EA%B4%80%EA%B3%84%EC%9D%B4%EB%A1%A0_hwp_01.gif)
![[유아교육]%20설리반(Sullivan)의%20대인관계이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4%A4%EB%A6%AC%EB%B0%98(Sullivan)%EC%9D%98%20%EB%8C%80%EC%9D%B8%EA%B4%80%EA%B3%84%EC%9D%B4%EB%A1%A0_hwp_02.gif)
![[유아교육]%20설리반(Sullivan)의%20대인관계이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C%A0%EC%95%84%EA%B5%90%EC%9C%A1%5D%20%EC%84%A4%EB%A6%AC%EB%B0%98(Sullivan)%EC%9D%98%20%EB%8C%80%EC%9D%B8%EA%B4%80%EA%B3%84%EC%9D%B4%EB%A1%A0_hwp_03.gif)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설리반(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에 관한 글입니다. 성격의 본질과 자아체계, 성격의 양상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자아체계는 불안한 유아기로부터 형성되기 처음 하는데, 이때는 부모의 명령이나 요구에 순응하면 처벌이나 비난을 면할 수 있기 때문에 순응을 위한 자아체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렇지만 부모의 명령이나 요구에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이러한 순응은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지언정 진정한 자…(투비컨티뉴드 )
[유아교육학]설리반의대인관계이론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유아교육] 설리반(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
설리반(Sullivan)의 대인관계이론에 관한 글입니다.
ⅱ) 자아체계
: 설리반은 오랫동안 자아(self), 자아역동성(self-dynamism), 자아체계(self-system) 등의 용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였으나, 그의 생애 마지막 2년 동안은 ‘자아체계’라는 용어로 통일하여 사용하였다. 유아는 어느 정도 성장할 때까지는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으므로 ‘만족’과 ‘안전’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특히, 유아가 신체적 친밀감의 동기를 성취하지 못하면 그 일차적인 결과로서 불안전의 주요特性인 고독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주위 타인들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