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정책과 기획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3:34
본문
Download : [행정학] 정책과 기획.hwp
, [행정학] 정책과 기획법학행정레포트 , [행정학] 정책과 기획
[행정학] 정책과 기획
순서
[행정학],정책과,기획,법학행정,레포트
![[행정학]%20정책과%20기획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C%A0%95%EC%B1%85%EA%B3%BC%20%EA%B8%B0%ED%9A%8D_hwp_01.gif)
![[행정학]%20정책과%20기획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C%A0%95%EC%B1%85%EA%B3%BC%20%EA%B8%B0%ED%9A%8D_hwp_02.gif)
![[행정학]%20정책과%20기획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C%A0%95%EC%B1%85%EA%B3%BC%20%EA%B8%B0%ED%9A%8D_hwp_03.gif)
![[행정학]%20정책과%20기획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C%A0%95%EC%B1%85%EA%B3%BC%20%EA%B8%B0%ED%9A%8D_hwp_04.gif)
![[행정학]%20정책과%20기획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C%A0%95%EC%B1%85%EA%B3%BC%20%EA%B8%B0%ED%9A%8D_hwp_05.gif)
![[행정학]%20정책과%20기획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D%95%99%5D%20%EC%A0%95%EC%B1%85%EA%B3%BC%20%EA%B8%B0%ED%9A%8D_hwp_06.gif)
[행정학] 정책과 기획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설명
[행정학] 정책과 기획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Download : [행정학] 정책과 기획.hwp( 94 )
정책과 기획
제1장 goal(목표) 설정
제1절 행정goal(목표)
1. 의 의
- 행정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未來의 상태
2. goal(목표) 의 유형
1) C. Perrow의 분류 : formula성의 여부를 기준
① formula적 goal(목표) - 공시적으로 표방한 선언적인 문장형식을 지님. 정부조직법, 직제,
정관, 공직자윤리법 등에 나와 있는 goal(목표) 들
② 실질적 goal(목표) 〓 운영goal(목표) - 사실상 현실적으로 추구하는 goal(목표)
2) A. Etzioni의 기능별 분류
① 질서goal(목표)
- 강제적 조직(경찰소, 교도소)이 내세우는 goal(목표) . 사회질서유지를 위하여
② 경제goal(목표)
- 공리적 조직(기업, 공사)이 내세우는 goal(목표) 로서 재화를 생산, 분배
③ 문화적 goal(목표)
- 규범적 조직(대학, 학교)이 내세우는 goal(목표) 로서 문화가치를 창조, 유지, 발전시키 고 상징적 가치의 창출
3. goal(목표) 의 변동
1) goal(목표) 의 전환(Goal Displacement) 〓 전치, 왜곡, 도치
① 의미
- 조직goal(목표) 를 왜곡하는 현상으로 수단의 목적화를 의미
② 원인(原因)
㉠ 소수간부의 권력욕(과두제의 철칙) : R. Michels
㉡ 규칙?법규에 대한 집착(동조과잉현상) : Merton & Gouldner
㉢ 하위goal(목표) 를 상위goal(목표) 보다 더 중시 : Werner & Havens
㉣ 전문화와 할거주의 : Selznick
㉤ alteration(변화) 에의 저항 : Blau
2) goal(목표) 의 승계
원래goal(목표) 가 성취되었거나 실현될 수 없을 때 새로운 goal(목표) 를 발견하여 설정하는 것
3) goal(목표) 의 다원화와 확대
① goal(목표) 의 다원화
- 본래의 goal(목표) 에 새로운 goal(목표) 를 추가하는 것
② goal(목표) 의 확대
- goal(목표) 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 goal(목표) 의 축소와 상반됨
4) goal(목표) 간의 비중변동
…(skip)
레포트/법학행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