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 교통文化(culture) 改善measure(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1 11:34
본문
Download : [사회심리학] 교통문화 개선방안.hwp
사회심
Download : [사회심리학] 교통문화 개선방안.hwp( 60 )
,인문사회,레포트
한국인의 교통문화 특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서 앞으로 이 분야에서 심리학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소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개선 방안은 교통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특수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교통문화 개선에 있어서의 심리학의 역할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개선 사례는 그동안 언론의 교통문화 캠페인을 통해 소개되었던 것을 제시하겠다. 사회심 , [사회심리학] 교통문화 개선방안인문사회레포트 ,
[사회심리학] 교통文化(culture) 改善measure(방안)
![[사회심리학]%20교통문화%20개선방안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C%8B%AC%EB%A6%AC%ED%95%99%5D%20%EA%B5%90%ED%86%B5%EB%AC%B8%ED%99%94%20%EA%B0%9C%EC%84%A0%EB%B0%A9%EC%95%88_hwp_01.gif)
![[사회심리학]%20교통문화%20개선방안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C%8B%AC%EB%A6%AC%ED%95%99%5D%20%EA%B5%90%ED%86%B5%EB%AC%B8%ED%99%94%20%EA%B0%9C%EC%84%A0%EB%B0%A9%EC%95%88_hwp_02.gif)
![[사회심리학]%20교통문화%20개선방안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C%8B%AC%EB%A6%AC%ED%95%99%5D%20%EA%B5%90%ED%86%B5%EB%AC%B8%ED%99%94%20%EA%B0%9C%EC%84%A0%EB%B0%A9%EC%95%88_hwp_03.gif)
![[사회심리학]%20교통문화%20개선방안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C%8B%AC%EB%A6%AC%ED%95%99%5D%20%EA%B5%90%ED%86%B5%EB%AC%B8%ED%99%94%20%EA%B0%9C%EC%84%A0%EB%B0%A9%EC%95%88_hwp_04.gif)
![[사회심리학]%20교통문화%20개선방안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C%8B%AC%EB%A6%AC%ED%95%99%5D%20%EA%B5%90%ED%86%B5%EB%AC%B8%ED%99%94%20%EA%B0%9C%EC%84%A0%EB%B0%A9%EC%95%88_hwp_05.gif)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그처럼 일탈 행동에 쉽게 동조하는 것은 도로에서의 익명성을 전제로 한다고 볼 때 익명성을 줄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책임감을 높인다면 자신의 편의를 위해 ‘적당히’ 법을 안 지켜버리는 우리 교통문화가 變化(변화)되지 않을까 하는 意見이 있따 이재영 교수(공주대 環境교육과)는 동아일보(01-5-7) 기고문을 통해 운전자의 심리 變化(변화)를 …(drop)
설명
한국인의 교통文化(culture) characteristic(특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example(사례) 에 대해 改善 measure(방안) 을 제시하면서 앞으로 이 분야에서 심리학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紹介하고자 한다. 교통문화와 관련된 한국인의 심리property(특성)으로 지적한 눈치보기, 빨리빨리 의식, 준법의식 결여 등이 모두 해당될 수 있는 무단횡단은 보행자사고사망자의 약 60%를 차지하는 큰 문제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경찰은 무단 횡단 보행자를 발견하고도 정지하지 않는 차량 운전자에게 범칙금을 부과하도록 도로교통법 시행령을 지난해 개정했지만 별 effect를 보지 못하고 있따 전문가들은 보행자들이 법규를 준수하는 것과 함께 보행자를 위한 안전시설물 설치가 시급하다고 지적하는데, 이는 環境 유도성(affordance)을 고려하여 가드레일을 설치하고 필요한 곳에는 횡단보도를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이다.
나. 운전자의 심리 變化(변화)를 유도하는 접근
instance(사례)1. 익명성 줄여 책임감 높이자
얌전한 사람도 운전대 앞에만 앉으면 쉽사리 욕설을 하게 된다는 난폭한 우리 교통문화, 앞서 그 배경에는 조급 심리와 함께 주변의 눈치를 보아 적당히 동조해버리려는 심리 등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동아일보2002-9-15) 이처럼 교통사고의 Cause 을 보행자 중심으로 분석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도 있는 것이다.
instance(사례) 4. 무단횡단 대책
앞서 우리는 신촌 일대에서 교통문화 實態를 조사하면서 상당수의 무단횡단 instance(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구체적인 改善 measure(방안) 은 교통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특수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교통文化(culture) 改善에 있어서의 심리학의 역할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改善 example(사례) 는 그동안 언론의 교통文化(culture) 캠페인을 통해 紹介되었던 것을 제시하겠다.
가. 교통 제도에 대한 인지 심리학적 접근
instance(사례) 1. 번호판 식별
instance(사례) 2. 신호등~정지선 간격 조정
instance(사례) 3. 밝은 옷 입기
instance(사례) 4. 무단횡단 대책
나. 운전자의 심리 變化(변화)를 유도하는 접근
instance(사례)1. 익명성 줄여 책임감 높이자
instance(사례)2. 과시욕, 안전불감증을 유도하는 대중매체의 결점
다. 그 결과 2002년 1월부터 6월까지 강원도 교통사고 사망자 중 노약자와 오토바이및 경운기 운전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87명보다 32.2% 줄어들게 되었다고 한다. 운전 요건/처벌 제도 측면에서의 접근-‘부적 강화’
instance(사례) 1. 까다로운 면허 취득 절차/운전문화 교육을 실시하는 독일
instance(사례) 2. 사회봉사제 실시(미국, 한국)
그래서 전북경찰청, 강원경찰청 등에서는 노인들에게 야광조끼, 지팡이, 모자 등을 나누어주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밝은 옷을 입자는 캠페인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