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언희의 시 ‘ 인간 본질을 통해서 본 여성의 모습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6 14:58
본문
Download : 김언희의 시 ‘ 인간 본질을 통해서 본 여성의 모습 ’.hwp
기계가 되고 마모되고 중독되기 싫어도 이젠 끝낼 수 없다. 어떤 희망을 던지기 보다는 고통을 느끼고 이러한 것들을 보다 가학적이고 파격적인 언어들을 통해서 더욱 강하게 드러내고싶어 하는 것 같다. . 그 끝을 기다리지만 이미 끝난 것이다. 생명의 신비, 사랑의 의미를 논하기에 앞서 과연 인간이란 존재가 동물적 본능에 의한 생존과 번식이라는 것 외에 무엇이 다른 것인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따 인간은 과연 어떠한 반대급부 없이 무조건 적으로 자신이 아닌 존재를 위해서, …(省略)



순서
김언희의 시 ‘ 인간 본질을 통해서 본 여성의 모습 ’에 대한 글입니다.
김언희의 시 ‘ 인간 본질을 통해서 본 여성의 모습 ’
다.
레포트/인문사회
POET97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3. 990412 / 4. 이 책 : 앉아있는 기계가 되고, 똥 만드는 기계가 되고, 또 다른 기계가 되고 또 된다 그러나 그것들은 원해서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닐것이다. 하지만 이 시들을 비롯한 가족극장이라는 이름의 시리즈에서 남성은 튀어나온 것들은 모두 다 성기의 모습이고 들어갈 수 있는 모든 구멍은 (심지어는 구멍을 만들어내서라도) 다 여성의 성기가 된다 그 성에 대한 정체성마저 모호해지고 가족은 더 이상 사랑을 매개로 한 울타리가 아닌 변태적인 근친상간과 동물적인 생존과 번식만이 남게 된다
III. 인간 본질에 비춰본 여성상
여러 작품들을 통해서 작가를 바라볼 때, 작가는 여성에 대상으로하여도 남성에 대상으로하여도, 그 모든 것을 둘러싼 세상에 대상으로하여도 비관적이고 모호한 태도를 취하기도 한다. 자신의 의지로는 어찌해볼 수 없는 것들.....
‘이 책‘에서 한 가지 단서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모든 걸 빨아 먹는 책은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기존의 권의, 사회, 성에 대한 差別(차별) 과 억압? 압도적인 자본의 힘? 어쩌면 그 모든 것을 초월하는 또 다른 자연의 법칙?
5. 가족극장, 언젠가는 / 6. 가족극장, 나에게 벌레를 먹이는
가족이란 무엇인가? 아버지의 존재는 무엇인가? 우리가 그려왔던 가족에 대한 관점, 사랑에 대한 관점..... 그 것은 무언가 숭고한 가치를 지닌, 설명(說明)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POET97 , 김언희의 시 ‘ 인간 본질을 통해서 본 여성의 모습 ’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김언희의 시 ‘ 인간 본질을 통해서 본 여성의 모습 ’.hwp( 37 )
김언희의 시 ‘ 인간 본질을 통해서 본 여성의 모습 ’에 대한 글입니다. 이미 기계가 되었고 마모됐고 중독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