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3:17
본문
Download : 전쟁과 사회_2030273.hwp
저자는 책머리부터 “왜 남한에서만 6.25라고 부르는가?”라고 문제 제기에 나서고 있다
‘6.25’ 라는 명칭에는 전쟁의 책임이 북한에 있고, 그러므로 북은 우리에게 철저히 응징의 대상이라는 ‘광신적인 반공주의’ 가 깔려 있다고 주장한다.
순서


그러나 전쟁과 사회를 통해 저자는 기존의 한국전쟁저서가 전쟁의 발생 原因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춘 기존 서적들과는 사뭇 다른 관점에서 한국전쟁이 민중에게 무엇을 남기고 오늘날까지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책을 서술하였다.
“99년 서해교전 당시 확인된 것처럼 남북한 사이에 긴장이 발생하면 한국의 언론과 지식인사회는 이성을 상실한다”고 꼬집은 저자는 “그런 대결이 상호 파멸을 가져올지라도 일단 응징해야 한다는 호전적인 주장이 압도하는 현실이 정말 무서운 것” 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이렇게 처음부분은 현 사회가 한국전쟁을 6.25라고 비고 있는 현상을 비난함과 더불어 저자가 쓰고자 하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 책 본문으로 들어 가보면 전쟁을 해부하면서 그 진행 과정을 피난-점령-학살이라는 예전의 관점과 완연히 다른 관…(skip)
다.전쟁과사회1 , 전쟁과 사회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전쟁과 사회_2030273.hwp( 74 )
전쟁과 사회
설명
한국전쟁과 사회에 대한 資料입니다.
전쟁과사회1
,인문사회,레포트
한국전쟁과 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