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최치원전과 김오신화의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03:47
본문
Download : 고전소설론, 최치원전과 김오신화의 차이점.hwp
최치원전의 등장인물은 주인공 최치원과 팔낭자구낭자, 1:2의 비율을 가진 반면 김오신화 중 그나마 사람과 명부의 이야기를 다룬 만복사저포기나 이생규장전에서는 모두 주인공과 상대가 1:1의 비율을 갖고 있는데 중요한 것은 나머지 취유부벽정기는 인간과 신선, 남염부주지는 인간과 염라대왕, 용궁부연록은 인간과 용왕의 주인공:상대 구조를 그리고 있어 주인공 상대방부터가 차이를 보이며 자연 그 둘의 사이에서 벌어지는 주 내용 또한 남녀상렬지사가 아닌 주인공의 시문창작 능력을 돋보이게 하는 수단으로 쓰여진다는 것이다. 여기서 현실은 ꡐ있는 세계ꡑ이고 비현실은 ꡐ있어야 할 세계ꡑ, 즉 ꡐ이상 세계ꡑ를 말하는데 최치원전은 죽은 여자와 사랑을 한다는 설정에 따라 전개되므로 명혼소설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하지만 남염부주지나 용궁부연록은 꿈속에서 포부를 이루었다고 하는 것을 근간으로 삼으므로 몽유소설이라 부를 수 있다 중간의 취유부벽정기는 두 가지 성격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 명혼소설과 몽유소설은 포함되어 있는 소재로 환원할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e19 , 고전소설론, 최치원전과 김오신화의 차이점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김오신화와 최치원전은 보는 각도에 따라 그 차이점을 달리 발견할 수 있는데 먼저 등장인물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레포트/감상서평
설명
고전소설론, 최치원전과 김오신화의 차이점
<고전소설론>, 최치원전과 김오신화의 차이점에 대한 글입니다.―남염부주지나 용궁부연록은 주인공이 작자 금시습 그 자신을 나타내는 것이며 현실에서 실현할 수 없었던 자신의 실력과 이상, 꿈 등을 실현하려는 동봉의 꿈이라고 說明(설명) 되는 반면에 최치원전의 작자 최치원은 철저히 소설과 현실의 결과를 사실로 증명해 보이고 있다 이것은 곧 작자 최치원이 현실과 비현실 세계의 경계를 절대 꿈으로 삼지 않았다는 것으로 내비친다. 명혼설화가 있어…(skip)
다.―남염부주지가 대표적으로 그러한데 주인공과 여인의 사랑이 아닌 주인공 박생의 특출난 글솜씨를 염라대왕이 익히 알고 그로 하여금 딸의 혼례 때 상례문을 짓게 하며 대가로 명주 두 알과 빙초 두필을 하례품으로 받는 다는 내용이다.
순서
Download : 고전소설론, 최치원전과 김오신화의 차이점.hwp( 51 )
e19



<고전소설론>, 최치원전과 김오신화의 차이점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