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시대의 재조명 - 영웅과 민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5:11
본문
Download : 고종시대의 재조명 - 영웅과 민중.hwp
”(9쪽) 라고 하면서 글을 처음 하고 있따 그가 과연 고종황제를 미화하거나 찬양하는 것이 아니라면, 어떤 관점에서 고종을 보려는 것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서에 수록된 논문과 내용을 살펴 보기로 하자.
① 서장 : 고종시대사 흐름의 재조명- 개항에서 광무개혁까지(원제 : 「서양 근대 정치제도 수용의 역사(歷史)적 성찰-개항에서 광무개혁까지」 ꡔ진단학보ꡕ 84, 1997.12)
② 「고종황제 암약설(암약설) 비판」 ꡔ동북아ꡕ 제5집, 동북아문제연구소, 1997
③ 「근대 한국은 과연 은둔국이었던가?」 ꡔ한국사론ꡕ 41·42, 1999.12
④ 「1884년 갑신정변의 허위성 - ‘일사내위(일사내위)’ 어서(어서) 위…(생략(省略))
설명
고종시대의재조명영웅과민중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고종시대의 재조명 - 영웅과 민중.hwp( 66 )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고종시대의재조명영웅과민중 , 고종시대의 재조명 - 영웅과 민중인문사회레포트 ,
다.
본서의 문제의식은 서문에 잘 예시되어 있따 “19세기 후반 고종시대사에 대한 부정적인 역사(歷史)상은 日本 침략주의에 의해 조장된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는 데는 긴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정작 그 출발점인 고종시대는 등장 밑이 어두운 꼴로 무풍지대로 남아 있었던 것”(5쪽)이라고 하였다. 저자는 “이 시대의 역사(歷史)상을 객관적으로 보아 역사(歷史)의 진실을 드러내자는 것이지 고종황제를 추숭하거나 그 치적을 미화하려는 것은 결코 아닐것이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고종시대사에 대한 왜곡은 곧 日本 의 침략주의 정당화의 출발점이었다. 그리고 제1부 ‘편견과 오류 비판’과 제2부 ‘근대화의 현장’으로 나뉘어져 있따 1990년대 후반에 쓴 10편의 논문을 1부와 2부로 나누어 각기 4편과 5편의 논문으로 다시 편집하였다.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고종시대의 재조명 - 영웅과 민중
2. 한국 근대정치사 왜곡 비판과 고종의 재평가
ꡔ고종시대의 재조명ꡕ은 서장인 ‘고종시대사 흐름의 재조명’이라는 논문으로 처음 된다된다. 日本 은 고종황제와 대한제국 政府(정부)의 무능과 무력을 강조하여 망국의 原因을 전적으로 한국의 내적 결함에로 돌려 그들의 통치를 정당화하려 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