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사 개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1:58
본문
Download : 한국어사 개관.hwp
이러한 인식은 알타이어 학자인 핀란드의 람스테드(Ramstedt,1949)가 알타이 어족에 속하는 몽골어, 만주-퉁구스어, 튀르크어에다가 우리 국어를 첨가시키면서 알려져 온 견해이다.
한국어사 개관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5) 부동사가 있따
* 언어간의 친족관계 가능성을 신빙성 있게 증명해 주는 현상
가. ‘규칙적인 음운 대응’ - 중세 한국어와 알타이 제어 간의 음운 대응 예
중세 한국어
에벤키어
몽고어
만주어
고대 터키어
아래(下)
alas(脚)
ala(사타구니)
al(下面)
불-(吹)
h?li`e-
fulgiye-
나. 문법적인 일치 - 예) 영 : good-better-best, 독 : gut-besser-best(불규칙의 일치)
- 한국어와 알타이 제어 간의 특수한 일치 : 동명사 어미 ‘-r, -m, -n`
한편,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한국어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많은 언어 가운데 적어도 알타이어와 친족 관계에 있을 개연성이 가장 높다고 보아서 국어의 알타이 어족설을 가설로 받아들이고 있따
<표1> 국어의 계통도
알 타 이 조 어
터키. 몽고. 퉁구스 공통어
부여, 한어 공통어
…(To be continued )
한국어사 개관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한국어사,개관,인문사회,레포트
한국어사 개관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 한국어사 개관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어사 개관
순서




Download : 한국어사 개관.hwp( 63 )
다. 국내에서도 이기문(1972)을 중심으로 하여 국어가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는 견해가 인정되어 왔다.
4) 관계대명사 및 접속사가 없다.
한국어의 역싸
1. 국어의 형성과 역싸
1.1. 국어의 계통과 형성
세계 언어의 계통상 국어는 알타이 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기문(1972:13)에서는 국어와 알타이 제어가 가지는 공통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따
1) 모음조화가 있따
2) 어두의 자음조직이 제약을 받고 있따
3) 교착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