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한서] 이후의 사서의 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1:14
본문
Download : [사기] [한서] 이후의 사서의 발전.hwp
한대의 유향, 유흠은 모든 서적을 논평하였기 때문...
제6절 사평의 발전
각종의 사서가 저술됨과 동시에 그에 대한 평론을 하는 전문가도 나타났다. 유지기는 체제를 중시하였기 때문에 중『한서』, 경『사기』하였으므로 『사기』의 미언을 존중하지 않았다. 한대의 유향, 유흠은 모든 서적을 논평하였기 때문 에 물론 그 중에는 오늘날의 歷史 서적에 속하는 것도 있었지만, 유향의 『별록』과 유흠의 『칠략』 중의 집략이 상실되었기 때 문에 그 대부분을 볼 수 없다. 그러나 그 후 정초, 장학성과 같은 사론가가 나왔다는 것은 유지기의 자극에 의한 것으로 그는 사론가로서 고 금을 통한 대가라고 할만 하다. 범엽의 자찬사는 『송서』 및 『남사』의 범엽전에 보이고 있지만, 옛날부터 자 서가 있었으나 이와 같이 자찬한 자평은 적었다.
순서
제6절 사평의 발전각종의 사서가 저술됨과 동시에 그에 대한 평론을 하는 전문가도 나타났다. 그 비평은 유향의 것은 도덕상의 식견을 표준으로 하여 서적의 우열을 논하는 경향이 있었고, 유흠의 『산해경』의 평은 이에 비하면 어느정도 호기심을 갖고 잡설을 취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서』 사마천서의 찬에 보이는 것도 대개 반호의 비평에 의한 것으로 이것들은 어느 정도 『사기』를 상세히 비평한 시초인 것이다.
『후한서』를 저작한 범엽은 지기의 서술에 대한 자평을 하였지만, 자찬한 평으로서 순리 이하의 제전과 육이의 전 서론에는 필 세종방으로 천하의 기작이라고 극찬하기도 한다.
제6장 당대의 사학
당대의 수사 수확은 매우 많았다.
歷史의 평론이 발달하여 여러 가지 전대의 것을 비교하여 통론하게 되었다. 우선 정사만 해도 태종 때의 방현령, 영호덕분, 이연수 …(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사기]%20[한서]%20이후의%20사서의%20발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A%B8%B0%5D%20%5B%ED%95%9C%EC%84%9C%5D%20%EC%9D%B4%ED%9B%84%EC%9D%98%20%EC%82%AC%EC%84%9C%EC%9D%98%20%EB%B0%9C%EC%A0%84_hwp_01.gif)
![[사기]%20[한서]%20이후의%20사서의%20발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A%B8%B0%5D%20%5B%ED%95%9C%EC%84%9C%5D%20%EC%9D%B4%ED%9B%84%EC%9D%98%20%EC%82%AC%EC%84%9C%EC%9D%98%20%EB%B0%9C%EC%A0%84_hwp_02.gif)
![[사기]%20[한서]%20이후의%20사서의%20발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A%B8%B0%5D%20%5B%ED%95%9C%EC%84%9C%5D%20%EC%9D%B4%ED%9B%84%EC%9D%98%20%EC%82%AC%EC%84%9C%EC%9D%98%20%EB%B0%9C%EC%A0%84_hwp_03.gif)
![[사기]%20[한서]%20이후의%20사서의%20발전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A%B8%B0%5D%20%5B%ED%95%9C%EC%84%9C%5D%20%EC%9D%B4%ED%9B%84%EC%9D%98%20%EC%82%AC%EC%84%9C%EC%9D%98%20%EB%B0%9C%EC%A0%84_hwp_04.gif)
![[사기]%20[한서]%20이후의%20사서의%20발전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A%B8%B0%5D%20%5B%ED%95%9C%EC%84%9C%5D%20%EC%9D%B4%ED%9B%84%EC%9D%98%20%EC%82%AC%EC%84%9C%EC%9D%98%20%EB%B0%9C%EC%A0%84_hwp_05.gif)
[사기] [한서] 이후의 사서의 발전
제6절 사평의 발전
설명
Download : [사기] [한서] 이후의 사서의 발전.hwp( 81 )
다. 한대의 유향, 유흠은 모든 서적을 논평하였기 때문... , [사기] [한서] 이후의 사서의 발전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각종의 사서가 저술됨과 동시에 그에 대한 평론을 하는 전문가도 나타났다. 『사통』에 대한 모든 비평중에 기물의 『사통삭번』이 세간에서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런데 대체로 유지기의 『사통』은 문장 중에 험담이 많고, 경서에 관련되어도 험담을 하였기 때문에 청조와 같은 경서를 숭상하는 시대에 있어서는 『사 통』을 칭찬할 수 없는 사정이었다. 오늘날 약간 남아 있는 것은 유향의 『전국책』, 『안자춘추평』, 유흠의 『산해경평』에 지나지 않는다. 그와같은 것을 집대성한 것이 당초에 이루어진 유지 기의 『사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