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기술]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4:59
본문
Download : [공학기술]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hwp
- 초점심도를 깊게 하려면 집광기의 조리개를 조여주거나 개구수가 작은 저배율대물 렌즈를 사용
7) 분해능
- 두 개의 점(선)을 각각의 점(선)으로 인식할 수 있는 …(투비컨티뉴드 )
[Engineering기술]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공학기술],현미경의,종류와,구조,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순서
[공학기술]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개구조리개를 좁힐수록 심도가 깊어지고 대물렌즈의 개구수가 클수록 얕아진다.
- 개구수가 큰 고배율 대물렌즈를 사용하면 분해능은 높아지나 초점심도는 얕아진다.
- 굴절률(n) : 공기 n 〓 1.000, 물 〓 1.333, 유침 n 〓 1.515, 유리 n 〓 1.520
6) 초점심도
- 현미경에서 표본을 observe할 경우 표본의 상하방향(두께)에 동시에 핀트가 맞는 깊이를 말한다.〓 ‘무효배율’
2) 실제시야
실제시야 〓
접안렌즈의 시야수
대물렌즈의 배율
* 시야수: 접안렌즈 내에 있는 고정시야 조리개의 직경을 ㎜로 나타낸 것
3) 동초점 거리
- 표본에서 대물렌즈가 부착된 위치까지의 거리
4) 경통길이
- 대물렌즈가 부착된 위치에서 접안렌즈가 부착된 위치까지의 거리
5) 개구수
- 분해능, 초점심도, 밝기 등 현미경 대물렌즈의 성능을 판단하는 중요한 수치의 하나 개구수 클수록, 분해능 좋다. , [공학기술]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다.
Download : [공학기술]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hwp( 88 )
![[공학기술]%20현미경의%20종류와%20구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D%98%84%EB%AF%B8%EA%B2%BD%EC%9D%98%20%EC%A2%85%EB%A5%98%EC%99%80%20%EA%B5%AC%EC%A1%B0_hwp_01.gif)
![[공학기술]%20현미경의%20종류와%20구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D%98%84%EB%AF%B8%EA%B2%BD%EC%9D%98%20%EC%A2%85%EB%A5%98%EC%99%80%20%EA%B5%AC%EC%A1%B0_hwp_02.gif)
![[공학기술]%20현미경의%20종류와%20구조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D%98%84%EB%AF%B8%EA%B2%BD%EC%9D%98%20%EC%A2%85%EB%A5%98%EC%99%80%20%EA%B5%AC%EC%A1%B0_hwp_03.gif)
![[공학기술]%20현미경의%20종류와%20구조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D%98%84%EB%AF%B8%EA%B2%BD%EC%9D%98%20%EC%A2%85%EB%A5%98%EC%99%80%20%EA%B5%AC%EC%A1%B0_hwp_04.gif)
![[공학기술]%20현미경의%20종류와%20구조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D%98%84%EB%AF%B8%EA%B2%BD%EC%9D%98%20%EC%A2%85%EB%A5%98%EC%99%80%20%EA%B5%AC%EC%A1%B0_hwp_05.gif)
[Engineering기술]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현미경의 종류와 구조
Ⅰ. 서론
. 형광현미경 : 비가시성의 자외선이 검체에 의해 가시광선으로 전환
. 현미경의 분해능 - 주사전자 현미경: 1000m ~ 10㎚
- 투과전자 현미경: 1000㎜ ~ 0.1㎚
- 광학 현미경: 1000m ~ 1000㎛
. 길이의 단위 : 10?³〓㎜, 10??〓㎛, 10??〓㎚, 10? 〓 Å
Ⅱ. 현미경의 구조
1. 광학현미경
1) 총 배율 〓 대물렌즈 배율 X 접안렌즈 배율
. 1500배 이상으로 배율을 높여도 분해능 때문에 의미가 없다.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