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에 나타나는 합용병서의 발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07:07
본문
Download :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합용병서의 발음.hwp
그 보이는 양상을 보면 ㅳ, ㅄ, ㅶ, ㅷ, ㅺ, ㅼ, ㅽ, ㅻ, ㅴ, ㅵ 이렇게 10개가 있는데 『훈민정음 해례』에도 그 소리를 설명(explanation)한 부분이 없어 그 음가가 어떠한가에 마주향하여 논란이 많다. 지금에 와선 대개 문헌의 자료(資料)나 현대어에 남아있는 자취를 근거로 표기된 자음의 모든 소리가 났을 것으로 예상한다. 지금에 와선 대개 문헌의 자료나 현대어에 남아있는 자취를 근거로 표기된 자음의 모든 소리가 났을 것으로 예상한다.






중세국어에나타나는합용병서의발음8
다. 이에는 첫소리(<xxx;,,), 가운뎃소리(과,홰), 끝소리(,)의 세 경우가 있는데, 이 중 지금의 말과 달라 문제가 되는 것은 첫소리의 합용병서이다.중세국어에나타나는합용병서의발음8 ,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합용병서의 발음인문사회레포트 ,
중세국어 어두에 나타나는 합용병서는 `ㅂ`계: ㅳ, ㅄ, ㅶ, ㅷ / `ㅅ`계: ㅺ, ㅼ, ㅽ; ㅻ / `ㅄ`계: ㅴ, ㅵ 의 열 가지가 있는데, 현대에는 없어진 표기(발음)인 만큼 그 음가가 다 소리가 났을 것인지 혹은 된소리로 발음되었을 것인지 논란이 많았다. 다만 `ㅅ`계 합용병서의 경우 자음군으로 실현되었을 만한 경우나, 된소리로 실현되었을 만한 경우도 있어 어느 하나로 說明(설명) 하기 애매한바, 상황에 따라 다른 발음이 되었다는 변이음설을 인정하는 추세이다.
`ㅂ`계: ㅳ, ㅄ, ㅶ, ㅷ / `ㅅ`계: ㅺ, ㅼ, ㅽ; ㅻ / `ㅄ`계: ㅴ, ㅵ
이 중에서도 특히 쟁점화 되는 것은 `ㅅ`계 합용병서의 음가인데, ①자음군으로 보는 설(최현배, 허웅 등) ②된소리로 보는 설(이기문 등) ③변의음설(박창원) 로 견해가 나뉜다. 다만 `ㅅ`계 합용병서의 경우 자음군으로 실현되었을 만한 경우나, 된소리로 실현되었을 만한 경우도 있어 어느 하나로 설명하기 애매한바, 상황에 따라 다른 발음이 되었다는 변이음설을 인정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우리로서도 각각의 근거를 보고 여러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밖에 없으므로 우선 전체적인 맥락에서 어두 합용병서의 음가 연구사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 각각 어떻게 그 음가를 설명(explanation)하고 있는지 알아봐야…(drop)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중세국어 어두에 나타나는 합용병서는 `ㅂ`계: ㅳ, ㅄ, ㅶ, ㅷ / `ㅅ`계: ㅺ, ㅼ, ㅽ; ㅻ / `ㅄ`계: ㅴ, ㅵ 의 열 가지가 있는데, 현대에는 없어진 표기(발음)인 만큼 그 음가가 다 소리가 났을 것인지 혹은 된소리로 발음되었을 것인지 논란이 많았다. 각각의 주장을 알아보기에 앞서 이상의 10가지의 어두 합용병서는 크게 `ㅂ`계 합용병서, `ㅅ`계 합용병서, `ㅄ`계 합용병서로 나누어 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Download :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합용병서의 발음.hwp( 44 )
레포트/인문사회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합용병서의 발음
1. 합용병서란 무엇인가.
2. 합용병서의 발음은 어떻게 추정되는가.
(1)`ㅂ`계와 `ㅅ`계를 유사한 자격 지닌 것으로 보는 설
ㄱ.자음군설
ㄴ.본음가 잠재설
ㄷ.된소리설
ㄹ.후두화음설
ㅁ.이중 조음설
(2)`ㅂ`계와 `ㅅ`계를 상이한 자격을 지닌 것으로 보는 설; `ㅂ`계는 자음군, `ㅅ`계는 된소리
(3)`ㅂ`계는 자음군, `ㅅ`계는 자음군과 된소리로 변이음 관계 이룸
3. 정리(arrangement)
4. 출처
`합용병서`란 두 글자를 나란히 쓴 `각자병서` 와 달리 서로 다른 글자 둘 또는 셋을 나란히 쓴 것이다. 각각은 주장에 알맞은 근거를 갖추고 있는데다 현재로선 무엇이 맞다 확신하긴 어렵다.